맨위로가기

헤르만 메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만 메사는 쿠바 야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1984년부터 2002년까지 선수로 활동하며 쿠바 리그에서 활약했고, 1989년 쿠바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쿠바 역대 최고의 유격수로 평가받았으며, 3차례 도루왕을 차지했다. 1996년 망명 시도 후 체포되었으나 사면되어 복귀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인다스트리아레스의 감독을 역임했다. 통산 타율 .285, 335도루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팬아메리칸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제이슨 지암비
    제이슨 지암비는 뛰어난 선구안과 장타력을 가진 미국의 은퇴한 프로 야구 선수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서 MVP를 수상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뉴욕 양키스 등 여러 팀을 거치며 스테로이드 복용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1991년 팬아메리칸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오레스테스 킨델란
    오레스테스 킨델란은 쿠바 야구 선수로서 쿠바 내셔널 시리즈 역대 최고 홈런, 타점, 루타 기록을 보유하고 쿠바 국가대표로 올림픽 금메달 2개와 월드컵 금메달 5회를 획득했으며, 일본 실업 야구팀에서도 활동했다.
  • 1995년 팬아메리칸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오레스테스 킨델란
    오레스테스 킨델란은 쿠바 야구 선수로서 쿠바 내셔널 시리즈 역대 최고 홈런, 타점, 루타 기록을 보유하고 쿠바 국가대표로 올림픽 금메달 2개와 월드컵 금메달 5회를 획득했으며, 일본 실업 야구팀에서도 활동했다.
  • 1995년 팬아메리칸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페드로 루이스 라소
    페드로 루이스 라소는 쿠바 출신의 야구 선수로,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와 은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쿠바 내셔널 시리즈에서 최다승 기록을 세웠다.
  • 쿠바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알프레도 데스파이네는 쿠바 야구 선수로서 쿠바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뛰어난 장타력을 보여주며 MVP, 홈런왕, 타점왕 등을 수상했고 쿠바 국가대표로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 쿠바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알렉세이 라미레스
    쿠바 출신 야구 선수 알렉세이 라미레스는 쿠바 리그에서 활동 후 2007년 망명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하며 2014년 올스타에 선정된 유격수이다.
헤르만 메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어 표기German Mesa
국적쿠바
출생지하바나 주하바나
생년월일1967년 5월 12일 ()
신장172.7cm
체중68kg
수비 위치유격수
투구
타석
경력
선수 경력메트로폴리타노스(1984-1988)
인두스트리아레스(1988-2002)
대표팀쿠바
올림픽
올림픽 참가1992년
2000년
메달 정보
올림픽금메달: 1992 바르셀로나 (단체전)
은메달: 2000 시드니 (단체전)
팬아메리칸 게임금메달: 1991 아바나 (단체전)
금메달: 1995 마르델플라타 (단체전)
금메달: 1999 위니펙 (단체전)
야구 월드컵금메달: 1990 에드먼턴 (단체전)
금메달: 1994 마나과 (단체전)
금메달: 2001 타이베이 (단체전)
인터콘티넨털컵금메달: 1989 산후안 (단체전)
금메달: 1993 밀라노 (단체전)
금메달: 1995 아바나 (단체전)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경기 대회금메달: 1990 멕시코시티 (단체전)
금메달: 1993 폰세 (단체전)
굿윌 게임금메달: 1990 시애틀 (단체전)

2. 선수 경력

1984-1985 시즌부터 쿠바 국내 리그인 세리에 나시오날 데 베이스볼의 메트로폴리타노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1988-1989 시즌에는 명문 팀인 인다스트리아레스로 이적했다.

뛰어난 유격수 수비 능력으로 쿠바 야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으며, '엘 이맘'(자석)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1989년 인터컨티넨탈컵에서 처음으로 쿠바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빠른 발을 이용한 도루 능력 또한 뛰어나 리그 도루왕을 여러 차례 차지하기도 했다.

1996년에는 미국으로의 망명을 시도하다 메이저 리그 에이전트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체포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1998년 3월 사면되어 국내 리그에 복귀했으며, 1999년 7월 범아메리카 경기 대회를 통해 3년 만에 다시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었다.

2002년 6월 1일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쿠바 리그 시절

1984-1985 시즌부터 쿠바 국내 리그인 세리에 나시오날 데 베이스볼의 메트로폴리타노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8-1989 시즌에는 명문 팀인 인다스트리아레스로 이적했다.

정교한 포지셔닝과 화려한 발놀림으로 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했으며, 쿠바 역대 최고의 유격수로 평가받았다. 뛰어난 수비 능력으로 해외 언론에서는 메이저 리그의 전설적인 유격수 오지 스미스와 비교하기도 했으며, '엘 이맘'(자석)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1989년 인터컨티넨탈컵에서 처음으로 쿠바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쿠바 출신 메이저리거 레이 오르도네스는 1997년부터 3년 연속 골드글러브상을 수상한 후 "나는 그저 왕자일 뿐이다. 왕은 쿠바에 있다. 그의 이름은 헤르만 메사이다"라고 말하며 그를 존경하는 마음을 표현했다. 또한, 1911년생 쿠바 출신 전 메이저리거 코니 마레로 역시 "지금까지 본 유격수 중 최고의 수비수"라고 극찬했다.[1]

도루 능력도 뛰어나 1987-1988 시즌(25개), 1988-1989 시즌(25개), 1990-1991 시즌(22개)에 총 3차례 도루왕을 차지했다.

1996년에는 망명을 시도하다가 메이저 리그 에이전트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체포되었다. 하지만 1998년 3월 사면을 받아 국내 리그에 복귀할 수 있었고, 1999년 7월 개최된 범아메리카 경기 대회에서 3년 만에 다시 쿠바 대표팀 유니폼을 입었다.

2002년 6월 1일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국가대표 경력

1989년 인터컨티넨탈컵에서 처음으로 쿠바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정교한 위치 선정과 화려한 발놀림으로 경이적인 수비 범위를 자랑했으며, 쿠바 야구 역사상 최고의 유격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그의 뛰어난 수비 능력은 해외 언론으로부터 메이저 리그의 전설적인 유격수 오지 스미스와 비교되기도 했으며, "엘 이맘"(자석)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쿠바 출신 메이저 리그 선수 레이 오르도네스는 1997년부터 3년 연속 골드글러브상을 수상한 뒤 "나는 그저 프린스일 뿐이다. 킹은 쿠바에 있다. 그의 이름은 헤르만 메사이다"라고 언급하며 그를 극찬했다. 또한, 쿠바 출신의 전 메이저리거 코니 마레로 역시 메사를 "지금까지 본 유격수 중 최고의 수비수"라고 높이 평가했다.[1]

1996년, 메사는 미국으로의 망명을 시도하다가 메이저 리그 에이전트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쿠바 당국에 의해 체포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그는 한동안 대표팀에서 활동할 수 없었다. 하지만 1998년 3월에 사면되어 국내 리그에 복귀하였고, 1999년 7월에 개최된 범아메리카 경기 대회에서 3년 만에 다시 쿠바 대표팀에 합류했다.

2. 3. 은퇴

2002년 6월 1일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2008-2009 시즌부터 2010-2011 시즌까지 인다스트리아레스의 감독으로서 팀을 이끌었으나, 3시즌 모두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4. 평가 및 별명

쿠바 야구 역사상 최고의 유격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해외 언론에서는 그를 메이저 리그의 전설적인 유격수 오지 스미스와 비교하기도 했다. 정교한 위치 선정(포지셔닝)과 화려한 발놀림으로 매우 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했으며, 이 때문에 "엘 이맘"(El Imán|엘 이맘es, 자석)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메이저 리그에서 3년 연속 골드글러브상을 수상했던 레이 오르도네스는 "나는 그저 프린스일 뿐이다. 킹은 쿠바에 있다. 그의 이름은 헤르만 메사이다"라고 말하며 그를 높이 평가했다. 또한, 쿠바 출신의 전 메이저리거인 코니 마레로 역시 "지금까지 본 유격수 중 최고의 수비수"라고 극찬했다.[1]

5. 통산 기록

헤르만 메사의 주요 통산 기록은 쿠바 국내 리그에서의 기록이며, 상세한 내용은 아래 쿠바 국내 리그 (선발 리그 포함) 문단을 참고하라.

5. 1. 쿠바 국내 리그 (선발 리그 포함)

타율 .285, 출루율 .386, 장타율 .423, OPS .809

1243경기 4344타수 1239안타 1952루타 333루타 112홈런 527타점

688볼넷 13고의사구 45사구 550삼진

335도루 172도루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